BDI, 11년래 최고치까지 단기간에 급등
지난 2월초 1,000포인트 초반까지 하락했던 건화물선 운임 지수(BDI)가 5월초 현재 11년래 최고치인 3,266포인트를 기 록 중이다
특히 대형선인 Cape급 선박 운임지수인 BCI의 경우 2월 중순 1,242포인트까지 하락한 이후 최근 5,404포 인트까지 급등하면서 전체 BDI 상승을 견인했다
1) 유럽의 3월 조강생산량이 전년동기대비 17.5% 증가하는 등 중국을 제외한 기타 국가들의 철광석 수입 확대와 더불어
2) 중국 또한 3월 조강생산량이 19.1% 증가함과 동시에 철광석 수입 이 18.9% 급증하면서 철광석 해상물동량이 크게 증가했다.
3) 뿐만 아니라 전세계 대두 생산 및 교역량도 확대되면서 중소형 선형 운임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
BDI 강세, 한동안 지속 전망
단기적으로는 중국의 본격적인 탄소감축을 위한 철강 생산 규제가 시행되기에 앞서 당산시, 산시성 및 한단시를 제외한 지역들의 철강사들은 큰 폭으로 개선된 수익성 수혜를 최대 한 누리기 위해 높은 수준의 가동률을 한동안 더 지속할 것 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중국의 수입산 철광석에 대한 의존도 도 상반기 동안에는 높을 전망이다
다만 하반기로 갈수록 중국의 철강 생산에 대한 규제가 본격화 예정으로 중국의 철 광석 수입 증가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
대신 전세계 철강 가격 상승세 지속과 공급부족 상황을 감안하면 중국을 제외한 기타 국가들로 향하는 철광석 해상물동량은 증가세 가 지속될 전망이다
최근 중국이 하계 석탄 공급 안정을 위 해 석탄 수입 쿼터 확대를 추진하고 있고 전세계 제조업 가 동률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석탄을 중심으로 중소형 선형 의 운임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
1H21 BDI 상승 전망 유효, 최선호주 팬오션
현재 전체 건화물선 운항선박대비 발주잔량은 5.6%에 불과 한 가운데 선복량 증가율은 지난해 3.8%에서 올해 2.8%, 내 년에는 1.0%로 점차 축소될 예정으로 공급확대 부담이 제한 적이다
'주식 > 국내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선업분석 : 한국조선해양, 삼성중공업, 대우조선해양, 현대미포조선 (0) | 2021.05.08 |
---|---|
노루홀딩수우 매매 거래정지 공시 정리 (0) | 2021.05.08 |
금호석유 기업분석 전망 (0) | 2021.05.08 |
효성첨단소재, 탄소섬유 증설 후 전망 (0) | 2021.05.08 |
경기민감주 주가 상승 전망 : 철강, 화학, 건설 (0) | 2021.05.08 |
댓글